안녕하세요. 오늘은 물이 항시 고여있는 1층 외부 및 옥상 부분의 복합방수 공법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PET일체형 복합방수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 자재 구성
1) 접착식 시트
폴리에서터 장섬유가 양면 래미네이트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하부에 아스팔트 35~60, 스틸렌 부타디엔 스틸렌 10~20, 부틸고무 5~10, 가소제 10~20, 접착부여제 1~5, 흡유제 1~5, 충전제 5~15, 스테아린산 알루미늄 3~5, 노화방지제 3~5, 고 점착 및 접착력 강화와 흘러내림 방지를 위한 특수 첨가제 3~5, 고 점착 연질형 고무화 아스팔트를 함침 시킨 특수구조 방수, 방근 일체형 접착식 시트를 사용, 두께는 1.5㎜를 사용한다.
2) SEAL 도막재
고강도 물성과 수축, 변형 등이 적고 크랙을 방지할 수 있고 내근성이 있는 도막재로 고형분과 탄성으로 흐름성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고 접착력과 인장성능이 우수하여 접착식 시트 접합부의 보강재 부위 및 시트 상부 전면에 도포하여 수밀성과 내근성을 확보한다.
3) 보강재
접합부에 사용하는 조인트 방근보강제로 PET필름의 상부와 하부에 폴리에스터 장섬유가 접착되고, 중심부를 제외한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천공되어 접합부에서의 방근 특성의 연속성을 확보한다. SALE 도막재와 합체 및 경화되면서 조인트 방근보강제와 시트 사이의 수밀성을 더욱 향상해 접합부로 뿌리가 침투하는 것을 근원적으로 차단한다.
2. 자재물성
1) 접착식 시트
항 목 | 성능 기준치 | |
인장강도 | 길이 | 24N/㎜ 이상 |
너비 | 24N/㎜ 이상 | |
신장률 | 길이 | 15% 이상 |
너비 | 15% 이상 | |
인열강도 | 길이 | 50N 이상 |
너비 | 50N 이상 | |
인장강도 (시험온도 60℃) |
길이 | 10N/㎜ 이상 |
너비 | 10N/㎜ 이상 | |
신장률 (시험온도-20℃) |
길이 | 7.5% 이상 |
너비 | 7.5% 이상 |
2) SEAL 도막재
항 목 | 성능 기준치 | |
인장성능 | 인장강도 | 0.3N/㎟ 이상 |
피단시의 신장률 | 600% 이상 | |
인열강도 | 2.9 N/㎜ 이상 | |
가열신축성 | 신축률 | -1 N/㎜ 이상~-1 N/㎜ 이하 |
인장강도비 | 가열처리 | 80% ~ 150% 이하 |
알칼리처리 | 80% ~ 150% 이하 | |
피단시의 신장률 | 가열처리 | 600% 이상 |
알칼리처리 | 600% 이상 |
3. 부속자재
1) 프라이머
방수 제조업자가 권장하는 것으로 부착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
2) 방수층 보호재
첫 번째 보호완충재로 저밀도 폴리에틸렌 방수층 보호재이며 재질은 저밀도 폴리에틸렌이고 밀도는 0.03~0.04kg/㎤, 두 번째로는 0.1mm 이상의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한다.
4. 시공
1) 작업준비
- 바탕처리 : 바탕은 방수층이 들뜨지 않도록 건조상태가 되어있어야 하며, 바탕의 콘크리트 면은 평활하고, 들뜸, 레이턴스, 취약부 및 돌기부의 결함이 없는 상태로 해야 한다. 추켜올림 부는 요철이 적은 양호한 면으로 하여 방수층의 끝부분 처리가 충분하게 되는 높이로 한다. 조인트부위 및 균열 등은 브이 컷팅한 후 방수몰탈로 보강하여 구체면과 동일하게 한다. 드레인, 관통파이프 등은 사전에 점검하고 이에 대한 시공방법을 수립하여 완전하게 방수가 되어야 한다. 귀모서리는 45도 정도의 사면으로 높이 50mm 이상 면을 다듬기를 하여 방수층의 접착이 잘되도록 한다. 청소완료 후 방치할 경우 재청소를 해야 하므로 곧바로 프라이머 처리를 한다.
- 환기시설이 필요한 경우 환기계획에 따라 내부 및 외부 휀을 설치, 가동하여 내부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되는지 확인해야 한다.
- 바닥 물매는 1/100으로 되도록 한다. 물이 고임 없이 빨리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2) 시공순서
- 바탕처리 → 프라이머 도포 → 접착식 시트 시공 → 시트 접합부 seal 도막재 도포 및 보강재 부착 → seal도막재 전면 도포 → 보호층 시공
※ 프라이머도포 : 바탕정리 후 바닥 및 전체에 붓, 롤러, 고무주걱 또는 스프레이 건 등을 사용하여 균일하게 도포한다. 프라이머 용량은 0.3㎏/㎡이 표준이다.
※ 접착식 시트시공 : 현장조건에 맞추어 접착식 시트를 PET 부직포면이 위쪽이 되도록 하여 전체 바닥면에 깔되 시트와 시트 간의 겹침은 각가 100mm, 30mm 이상으로 한다. 벽체는 소정의 높이까지 바닥면과 동일하게 설치한다.
※ 접합구 seal 도막재 도포 및 보강재 부착 : 상호 간에 조인트 부위를 보강하기 위해 접합부위 틈새를 도막재로 도포한 다음 보강재를 부착한다. 도막재 사용량은 0.35㎏/㎡이 표준이다.
※ 수직벽 코너 및 접합부 끝단부위 보강 : 파라펫 코너부위는 방수몰탈 캔트 또는 LLPP seal로 보강한 다음 접착식 시트를 소정의 높이까지 부착하고 시트 끝단 부분을 보강테이프 보강 후 그 상부에 벽체용 seal를 일정한 두께로 실링 한다. 도막재 사용량은 0.8㎏/㎡이 표준이다.
※ seal도막재 전면도포 : 내근성 및 내충격성 증진을 위해 시트 상면에 전면적으로 seal도막재를 전면 도포한다. 도막재 사용량은 0.9㎏/㎡이 표준이다.
※ 방수보강 : 드레인주위, 고정철불 주위 및 설비배관 관통주위, 코너부위 등 방수보강이 필요한 곳은 외각에서 300mm 이상이 되도록 하며, 바닥과 벽이 접하는 부위는 전체 300mm(바닥 150mm+벽 150mm) 이상이 되도록 한다.
3) 보호층 시공
방수층이 경화된 후에 방수 보호몰탈 또는 기타 보호재로 보호층을 시공한다.
- 누름 콘크리트 : 방수층 도포 후 보호몰탈 또는 보호재를 시공하며 이때 바닥인 경우 시멘트몰탈을 20mm 정도 바른다. 누름 콘크리트의 두께 및 마감은 60mm 이상으로 하며 표면은 휘니셔 마감을 원칙으로 한다.
- 파라펫 방수층 보호 : 추켜올림은 벽돌 쌓기로 할 경우 방수층엣 20mm 이상 띄어놓고 시공한다. 높이 세켜정도 쌓을 때마다 벽돌과 방수층 사이 시멘트:모래 = 3:1 용적배합 몰탈을 빈틈없이 채워야 한다.
- 지하 외방수 보호 : 바닥은 방수층을 설치한 후 바닥 슬라브의 철근 배근공사전에 두께 20~30mm 보호몰탈을 시공하여 방수층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지면과 접하는 슬라브 바닥과 지하 외벽이 만나는 부위의 방수층 치켜 내림은 도면에 명시가 없는 경우에는 슬라브 상단면으로 부터 지하외벽 1m 깊이로 하며, 05B시멘트 벽돌 또는 두께 30mm 방수보호재를 사용한다.
5. 현장품질
방수공사를 마치면 후속공사 착수 전에 방수 시공된 부위의 모든 드레인을 막고 맑은 물을 50mm 이상의 깊이로 채운 후 최소 72시간 동안 관찰하여 누수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누수가 발견되면 물을 배수시키고 건조 후 보수하여 완료되면 다시 드레인을 막고 같은 방법으로 담수시험을 실시한다. 누수부위가 있다면 누수가 발견되지 않을 때까지 같은 작업을 반복한다.
6. 결론
현재 외부 슬라브 방수에 많이 쓰이는 복합방수로 시공성이 우수하며, 단가 또한 타 복합방수재와 같이 양호한 편이다. 방수는 방수재로서는 뛰어나지만 시공성이 나쁘면 방수성능 또한 떨어진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건물내부보다는 외부에 더 나은 방수재를 사용하고 시공성도 뛰어나게 만들어 주는 것이 좋다. 아래링크는 부위별 방수에 대한 타당성을 분석한 것이다.
(고무 아스팔트 복합방수, PET일체형 복합방수, PE개량 일체형 복합방수)
(침투식 액체방수, 무기질탄성도막방수, 우레탄도막방수)
(폴리우레아방수, 에폭시코팅, FRP라이닝)
(규산질계 침투성방수, 침투식 액체방수, 시멘트 액체방수)
'부동산 >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레탄 복합방수 자재 및 시공방법 (0) | 2023.07.21 |
---|---|
고무아스팔트 복합방수 자재 및 시공방법 (0) | 2023.07.20 |
지상층 슬라브 옥상 방수 공법 및 타당성 분석 (0) | 2023.07.10 |
화장실, 샤워실, 주방 방수 공법 및 타당성 분석 (0) | 2023.07.08 |
비상주 상주감리 및 허가권자 지정감리 대상 (0) | 2023.07.06 |